♥세계 최고 문자 한글의 가장 큰 단점이 무엇인지 아시나요?
▶ 가장 배우고 알기 쉽다는 것이 단점이다.
(영어는 어렵다고 연구 열심, 한글은 쉽다고 고작 혼용 짜깁기 연구 암기로 배움)
▶ 이러한 단점 때문에 관심과 연구가 없어졌다.
① 훈민정음 규칙 과학 한글 배움 방식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없어졌고,
② 훈민정음 규칙 과학 한글 배움 방식을 연구하는 학자도 없어졌으며,
③ 훈민정음 최고 가치와 한글 배움 방식이 서로 달라 불편한 동거를 하게 되었고,
④ 문맹자는 줄었지만 한글 해득 부진은 계속 늘고 있다.(부진 64%)
⑤ 훈민정음 이론과 배움 방식이 이율배반적이라 한국어가 세계 4대 어려운 언어로 전락할 수밖에 없었다.
⑥ 모든 한글 책이 이론 오류 5가지를 범한 채 일어 낱말식 통글자, 영어 문장식과 시늉만 낸 한글 만든 원리를 혼용하여 짜깁기 일색으로 출판되고 있다.
⑦ 훈민정음 규칙 과학은 어렵다며 쉽게 더 쉽게 최소 3에서 10권 시리즈로 만들어 배워도 한글 해득 부진은 줄지 않고 있다.
⑧ 어른들한테 예) '맑'자를 '말'인가 '막'인가 어떻게 읽느냐고 물어보시라 정확하게 대답하는 사람이 몇이나 되는가? 왜 그렇게 읽느냐고 물으면 모두 벙어리
⑨ 시늉만 낸 한글 만든 원리로는 홑받침 쌍받침 겹받침은 모두 외워서 암기하여 배울 수밖에 없다. 그래서 잘 잊어버리므로 받아쓰기를 수십 번 해야 한다. 더 쉽게 만들었다는 책이 오히려 배우기가 더 어려워졌다.
⑩ 학생들은 책을 얼버무려 읽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생각하는 힘, 문해력과 이해 능력을 키울 수 있을까? 한글을 정확하게 배우지 못한 탓은 아닐까?
⑪ 글을 읽을 줄 안다고 한글을 잘 배운 것일까? 처음 배울 때부터 소릿값 내기규칙으로 한글을 배워야 생각하는 힘, 문해력과 이해 능력을 키울 수 있다.
⑫ 앞뒤 글 내용의 맥락을 이해하는 능력이 바로 생각하는 힘, 문해력이다. 규칙을 찾아 1음절 하나하나, 나아가 2음절을 정확하게 발음하며 글 내용의 앞뒤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방식, 첫소리(+가운뎃소리) 끝소리 소릿값 내기규칙으로 읽고 쓸 줄 알아야 한다. 이것이 진짜 한글 파닉스이다.
▶40년 연구한 '규칙 놀이 세종과학 한글'
① 규칙 과학 한글은 외우지 않고 받아쓰기할 필요 없이 규칙을 찾아 이해하며 배울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② 기존 이론으로 개발하려다 15년 헤맸다. 그리고 훈민정음을 초등교육 현장에 적용 실천 연구하며 개발하는데 25년이 걸렸다. 그래서 모두 40년이나 걸렸다.
③ 2007년부터 2015년 1차 실험 적용, 2016년부터 2022년 2차 실험 적용, 2차 실험에서 이론 오류 5가지를 찾아 완전 제거하고 초등 1~4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