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소식         공지사항

♥세계 최고 문자 한글의 가장 큰 단점이 무엇인지 아시나요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811

세계 최고 문자 한글의 가장 큰 단점이 무엇인지 아시나요?

 

가장 배우고 알기 쉽다는 것이 단점이다.

(영어는 어렵다고 연구 열심, 한글은 쉽다고 고작 혼용 짜깁기 연구 암기로 배움)

 

이러한 단점 때문에 관심과 연구가 없어졌다.

훈민정음 규칙 과학 한글 배움 방식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없어졌고,

훈민정음 규칙 과학 한글 배움 방식을 연구하는 학자도 없어졌으며,

훈민정음 최고 가치와 한글 배움 방식이 서로 달라 불편한 동거를 하게 되었고,

문맹자는 줄었지만 한글 해득 부진은 계속 늘고 있다.(부진 64%)

훈민정음 이론과 배움 방식이 이율배반적이라 한국어가 세계 4대 어려운 언어로 전락할 수밖에 없었다.

모든 한글 책이 이론 오류 5가지를 범한 채 일어 낱말식 통글자, 영어 문장식과 시늉만 낸 한글 만든 원리를 혼용하여 짜깁기 일색으로 출판되고 있다.

훈민정음 규칙 과학은 어렵다며 쉽게 더 쉽게 최소 3에서 10권 시리즈로 만들어 배워도 한글 해득 부진은 줄지 않고 있다.

어른들한테 ) ''자를 ''인가 ''인가 어떻게 읽느냐고 물어보시라 정확하게 대답하는 사람이 몇이나 되는가? 왜 그렇게 읽느냐고 물으면 모두 벙어리

시늉만 낸 한글 만든 원리로는 홑받침 쌍받침 겹받침은 모두 외워서 암기하여 배울 수밖에 없다. 그래서 잘 잊어버리므로 받아쓰기를 수십 번 해야 한다. 더 쉽게 만들었다는 책이 오히려 배우기가 더 어려워졌다.

학생들은 책을 얼버무려 읽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생각하는 힘, 문해력과 이해 능력을 키울 수 있을까? 한글을 정확하게 배우지 못한 탓은 아닐까?

글을 읽을 줄 안다고 한글을 잘 배운 것일까? 처음 배울 때부터 소릿값 내기규칙으로 한글을 배워야 생각하는 힘, 문해력과 이해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앞뒤 글 내용의 맥락을 이해하는 능력이 바로 생각하는 힘, 문해력이다. 규칙을 찾아 1음절 하나하나, 나아가 2음절을 정확하게 발음하며 글 내용의 앞뒤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방식, 첫소리(+가운뎃소리) 끝소리 소릿값 내기규칙으로 읽고 쓸 줄 알아야 한다. 이것이 진짜 한글 파닉스이다.

 

40년 연구한 '규칙 놀이 세종과학 한글'

규칙 과학 한글은 외우지 않고 받아쓰기할 필요 없이 규칙을 찾아 이해하며 배울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기존 이론으로 개발하려다 15년 헤맸. 그리고 훈민정음을 초등교육 현장에 적용 실천 연구하며 개발하는데 25년이 걸렸다. 그래서 모두 40년이나 걸렸다.

2007년부터 20151차 실험 적용, 2016년부터 20222차 실험 적용, 2차 실험에서 이론 오류 5가지를 찾아 완전 제거하고 초등 1~4학년

 댓글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