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학교 현장의 갈등과 공동체 신뢰 약화라는 사회적 문제 속에서, 태권도 기반 인성교육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교수자의 핵심역량을 구조화하고 실행 전략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델파이 조사(전문가 8인, 3라운드)와 AHP 분석(광주광역시교육청 ‘학교로 찾아가는 태권도 인성교육’ 강사 25인)을 실시하였다. 델파이 절차는 개방형 응답과 CVR 검증을 통해 요인을 도출하였고, AHP에서는 Expert Choice를 활용하여 상대적 중요도와 일관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4개 상위 요인과 20개 하위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인성 지도 실행 역량(0.334)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였고, 하위 요인에서는 단계별 수련지도 및 안전 지도 능력(0.087)이 핵심 실행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태권도 인성교육의 차별적 교육 효과를 규명하고, 교수자 양성 및 학교–지역사회 연계 정책 설계에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문적·실천적 의의를 가진다.
주제어
태권도, 인성교육, 교수 역량, 지역사회 연계, A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