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현재 품새 경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경기규칙의 문제와 개선방안을 탐색하여, 경기규칙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고 국내 태권도 품새 경기문화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도경력이 10년 이상이면서 최우수지도자상 수여 경험이 있는 지도자 4명과 선수 경험이 7년 이상이면서 국가대표 경험이 있는 공인 품새 선수 2명, 자유 품새 선수 2명과 대한태권도협회 품새 상임심판으로 위촉되어 7년 이상 활동한 심판 4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원자료는 태권도 학과 교수 3인과 국가대표 지도자 경험이 있는 품새 지도자 2인을 포함한 전문가 회의를 걸쳐 귀납적범주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경기규칙에 문제점으로 공인 품새 채점 기준의 구조적 문제, 자유 품새 채점 기준의 구조적 문제, 심판 시스템의 한계, 경기규칙의 주관적 해석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선방안으로 공인 품새 평가 구조 개편, 자유 품새 평가 구조 개편, 심판 시스템 보완 및 개선, 경기규칙 해석의 명료화 및 일관성 강화로 도출되었다. 마지막 기대효과의 경우 공정한 스포츠로의 탈바꿈.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 심판제도의 전문화 및 체계화 그리고 태권도 품새 발전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현재 태권도 품새 경기규칙은 공인 품새와 자유 품새 모두에서 채점 기준의 구조적 문제, 심판 시스템의 한계, 규정 해석의 주관성으로 인해 공정성과 신뢰성이 저하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공인 품새에서는 동작 빈도에 따른 감점 세분화와 신규 감점 항목 도입이, 자유 품새에서는 가점제 도입, 아크로바틱 기술 제한, 기술 난이도 기준의 명확화 등이 도출되었다. 공통적으로는 심판 역할 분류와 자격 갱신 제도, 블라인드 판정 시스템, 정량화된 평가 기준, 규칙 해설서와 감점 사례집 제작·배포 등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개선은 공정성 확보와 경기력 향상, 심판제도의 전문화와 체계화를 통해 품새 경기 발전에 기여하고, 선수·지도자·심판 모두에게 긍정적 효과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규칙의 명료화와 체계화 는 관객의 이해와 접근성을 높여 대중화와 산업화를 촉진하며, 장기적으로 국제적 위상 강화와 올림픽 정식종목 채택 가능성에 도 기여할 수 있다.
주제어
태권도 품새, 경기규칙, 문제점, 개선방안, 기대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