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 차 >
제 1 장 과업 개요
1.1 과업의 목적
1.2 과업의 배경
1.3 과업명
1.4 과업 기간 및 범위
1.5 과업 세부 내용
1.6 과업 추진 일정
1.7 참여연구진
제 2 장 설계도서 검토
2.1 사업 개요
2.2 비개착공법의 필요성(지구외 소하천 정비공사)
2.3 비개착 우수암거의 적정 단면 및 형식
2.4 비개착 우수암거 설계에 적용된 설계기준
2.5 비개착 공법의 설계 타당성
2.6 비개착 공법(DSM) 개요 및 설계
2.7 소결
제 3 장 우수암거(비개착) 공사 현황
3.1 공사 추진 경위
3.2 현장 안전관리 자료 검토
3.3 터널 굴착 전 시공된 강관다단그라우팅 시공 효과
3.4 발진기지 흙막이 지보공 적정성
3.5 추진판(pLATE)상세 및 추진판 설치
3.6 시공 중 도로 침하확인 및 계측 현황
3.7 소결
제 4 장 도로침하 원인 분석
4.1 설계 지반 조건 분석
4.2 터널 굴진면에서 출현에서 출현하는 지반상태 분석
4.3 수치해석을 통한 도로침하 원인 분석
4.4 터널(비개착)시공에 따른 도로침하 영향성 검토
4.5 현장 지하수위 및 터널내부 지하수 유출 영향 분석
4.6 소결
제 5 장(굴진 완료 구간) 지반보강 효과분석 및 구조안전성 검토
5.1 긴급보강공사에 대한 현장시공계획서 분석 및 적정성 검토
5.2 긴급보강공사 중 지반보강(도로포장면) 그라우팅 품질 평가
5.3 긴급보강공사 중 터널 1차 라이닝 시공 적정성 분석
5.4 보강 후 비파괴탐사에 의한 지반보강 효과 분석
5.5 지반보강 후 터널구조체의 안전성 검토
5.6 지반보강 후 수치해석을 통한 터널 주변 지반의 안전성 검토
5.7 긴급 보강공사 구간 계측 결과 검토
5.8 소결
제 6 장(굴진 예정 구간) 공사 추진 방안
6.1 비개착공법 현장 적용성 검토
6.2 지반보강 현황, 지층조건 등을 고려한 적합한 시공법 검토 및 제안
6.3 제안공법에 대한 적정 공사방안
6.4 제안공법 적용 시 터널구조체의 안정성 검토
6.5 제안공법 적용 시 터널 주변 지반의 수치해석(3D)에 의한 안정성 검토
6.6 향후 공사에 대한 품질, 안전 및 계측관리기준(안) 제시
6.7 소결
제 7 장 비개착 우수암거 검토(종합)
7.1 비개착공법의 적용성
7.2 설계도서의 적성성 및 문제점 분석
7.3 도로 침하 원인 분석
7.4 긴급 보강공사 적정성
7.5 굴진 예정구간 시공방안
7.6 공사 시 품질, 안전 및 계측관리기준(안)
제 8 장 결론 및 제언
8.1 결론 및 제언
부록
#1. 지반조사보고서
#2. 1차 GPR탐사보고서
#3. 2차 GPR탐사보고서
#4. 3차 GPR탐사보고서
#5. 자문의견 및 조치사항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