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
이 책은 처음에 정보디자인의 기본과 디자인 프로세스를 이해할 수 있도록 했고, 이어서 디자인 프로세스에 따라 구체적인 방법을 해설해가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체적 방법이란 우선 사용자 조사를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추구합니다. 다음은 콘셉트 설정을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바라고 있는 본질적인 가치에서 디자인의 방향성을 명확히 합니다.
다음은 시각화를 위한 방법으로 콘셉트를 눈에 보이도록 가시화한 다음, 그것을 디자인 평가를 위한 방법을 통해 검증합니다.
이처럼 시각화와 검증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디자인을 완성해가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교육 사례는 학교나 기업, 워크숍 등에서 실시한 학습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교육기관, 기업, 지방자치단체나 NPO 등 다양한 단체에서 이러한 사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믿습니다.
* 역자소개 *
하봉수는 1982년 입학해 8년간 대학을 다녔다. 8년간 광고회사에서 근무했다. 그리고 8년간 유학생활을 했다.
시간강사, 준공무원, 연구원 등을 거쳐 귀국 8년째 교수가 되었다. 88한 인생이다.
동아대학교, 홍익대학교, 츠쿠바대학교, 그리고 예음기획, 나라기획, 동방기획을 거쳐 지금까지 디자이너이자 연구자로서 사람들에게 공감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에 대한 실천적 접근과 이론적 연구를 다수 수행했다.
최근에는 정보디자인 사고를 토대로 한 기초디자인 교수매체 연구, 지역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컨설팅 및 경영 차원에서 정보디자인을 접목하고 있다.
현재, 동양대학교 디자인경영학과 교수 및 교원창업 기업인 지역창생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 목 차 *
Chapter 1 정보디자인이란?
1. 정보디자인이란 무엇인가
2. 정보디자인의 역사와 영역
3. 정보디자인의 활용
4. 사회와 정보디자인
5. 조직과 정보디자인
Chapter 2 정보디자인 프로세스
6. 디자인 프로세스의 개요
7. 계획·정보 수집과 목표 설정의 프로세스
8. 사용자 조사의 프로세스
9. 콘셉트 디자인의 프로세스
10. 실시디자인과 라이프사이클의 디자인 프로세스
Chapter 3 사용자 조사를 위한 방법
11. 사용자 조사
12. 인터뷰
13. 필드워크
14. 행태 발견
15. 래피드 에스노그래피
Chapter 4 콘셉트 설정을 위한 방법
16. 콘셉트 디자인
17. 페르소나 방법
18. 시나리오 방법
19. 발상법
20. 셔플 디스커션
21. 포토에세이·포토다이어리
Chapter 5 시각화를 위한 방법
22. 구조의 시각화
23. 정보의 구조화
24. 아이디어 스케치
25. 종이 프로토타이핑
26. 프로토타이핑
27. 역할 연기
28. 인포메이션그래픽스
Chapter 6 디자인 평가를 위한 방법
29. 사용자에 의한 평가
30. 전문가에 의한 평가
Chapter 7 교육 사례
31. 커리큘럼
32. 워크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