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귀분석 워크숍
한국교육&심리연구소에서는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측정통계 전공과 공동으로 회귀분석 워크숍을 개최합니다. 회귀분석은 그 자체로 사회과학과 자연과학 전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통계모형이며, 또한 많은 고급통계분석(구조방정식, 매개효과모형, 잠재성장모형 등)의 기초가 됩니다. 본 강의는 기초통계를 이해하고 있는 수준의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의 여러 주요 개념에 대한 이해와 SPSS를 활용한 실질적인 분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번 강의는 온라인으로 저녁시간에 개최됩니다.
※ 기간: 2021년 1월 4일 ~ 8일(월~금 5일간, 총 20시간)
오후 6:00 ~ 오후 10:00
※ 장소: Zoom을 이용한 온라인 강의
강사: 김수영 교수(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응용통계학과 졸업
-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박사 학위 취득
※ 워크숍 내용:
1월 4일
|
1월 5일
|
1월 6일
|
1월 7일
|
1월 8일
|
자료의 상관
단순회귀분석
상관과 회귀
모형의 추정과 평가
회귀분석의 가설검정
|
다중회귀분석
통제의 개념과 예제
범주형 독립변수의 사용
더미변수 사용의 주의
|
변수의 변환 - 중심화, 척도화
다중공선성
억제효과와 거짓효과
검정력, 표본크기
회귀분석의 가정과 진단
정규성 확인
선형성 확인
등분산성 확인
|
극단치의 판별
위계적 회귀분석
모든 부분집합 회귀분석
범주형변수와 연속형변수의 상호작용
|
연속형변수와 연속형변수의 상호작용
범주가 3개인 경우의 상호작용
조절변수가 병렬적으로 두 개일 때 상호작용
삼원상호작용
|
정의적 척도 개발 워크숍
한국교육&심리연구소에서는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측정통계 전공과 공동으로 경험적 연구의 핵심 도구로 사용되는 설문지를 포함한 다양한 심리척도 개발을 위한 워크숍을 개최합니다. 본 워크숍에서는 정의적 특성을 측정하는 심리척도를 중심으로 문항개발부터 척도 타당화까지의 전 과정을 단계별로 구체적인 예제를 포함하여 진행할 것입니다. 또한 개인적 연구를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상담과 질문도 가능합니다. 이번 강의는 온라인으로 저녁시간에 개최됩니다.
※ 기간: 2021년 1월 11일 ~ 14일(월~목 4일간, 총 16시간)
오후 6:00 ~ 오후 10:00
※ 장소: Zoom을 이용한 온라인 강의
※ 강사: 김아영 교수(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명예교수)
- 교육심리 및 측정 전공으로 심리척도 개발 전문가
- 학업적 실패내성척도, 자기효능감척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척도, 교사효능감척도, 학업적 자기조절설문지, 목표지향성척도 등 다수 학업동기척도 개발 및 청소년 및 중학생용 적성검사, 진로발달검사, 학업적성진단검사, 진로적성탐색검사, 창의성검사 등 각종 심리검사 개발
※ 워크숍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