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9년 | 과거의 기억에서 미래의 진보로: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하여 |
| 2000년 | 남북한 대립, 사회체제의 동요와 새로운 갈등구조의 이해 : 상생적인 민족공동체의 구성을 위하여 |
| 2001년 | 전지구적 자본주의와 시장전제주의체제 |
| 2002년 | 정치변동과 사회개혁 |
| 2003년 | 미국의 세계 패권 |
| 2004년 | 글로벌시대 자본주의 유형과 한국사회 |
| 2005년 | 21세기 한국사회의 전환과 발전: 우리는 어디로 나아가야하는가 |
| 2006년 | 경제위기이후 10년 한국사회 변동과 전망 |
| 2007년 | 민주화 20년과 포스트 87년체제의 전망 |
| 2008년 | 지구화와 동아시아의 사회변동 |
| 2009년 | 기로에선 한국사회: 비판에서 대안으로 |
| 2010년 | 세계화와 한국사회이론의 모색: 도전과 희망 |
| 2011년 | 한국사회의 변동과 새로운 위기, 대안의 모색 |
| 2012년 | 개인화, 지구화, 네트워크시대의 비판적 상상력 |
| 2013년 | 다중전환의 도전과 비판사회학 |
| 2014년 | ‘사회적’인 것과 한국사회 |
| 2015년 | 해방70년 사회과학: 새로운 사회의 모델을 상상한다 |
| 2016년 | 저성장, 산업전화, 그리고 한국사회의 미래 |
| 2017년 | 역사적 전환과 체제변동 2017, 희망의 변곡점 |
| 2018년 | 신자유주의 극복과 포용을 위한 사회적 모델 |
| 2019년 | 디지털 자본주의로의 대전환: 유토피아 혹은 디스토피아 |
| 2020년 | 탈-성장: 인간됨의 경계를 묻다 |
| 2021년 | 비판의 재구성 |
| 2022년 | 21세기 자본주의의 디지털·그린 전환과 사회의 미래 |
| 2023년 | 물화와 물신 다시 사고하기 |
| 2024년 | 주민자치와 지속가능사회 |
